최대 1 분 소요

계량경제학 정리_page-0052

계량경제학 정리_page-0053 계량경제학 정리_page-0054

  • cdf (Cumulative Distribution Funcion, 누적 분포 함수)

    ‘정규 분포의’ 특정 값 이하의 누적 확률

    확률값은 대칭적인 관계 : 표준정규분포 N(0, 1)에 대해 \(\Phi(-x) = 1 - \Phi(x)\)

계량경제학 정리_page-0054

계량경제학 정리_page-0055 계량경제학 정리_page-0056

MLE (Maximum Likelihood Estimation, 최대우도법)

파라미터 θ=(θ1,⋯,θm) 로 구성된 확률밀도함수 P(x θ) 에서 관측 표본 데이터 집합을 x=(x1,x2,⋯,xn) 일 때, 표본으로부터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
  • x=(x1,x2,⋯,xn) : 표본 데이터 => 이미 관측된 고정값
  • θ=(θ1,⋯,θm) : 모수(분포) => 아직 모르는 변수

=> “데이터(x)가 주여졌을 때, 각 모수(분포, θ)가 얼마나 가능성 있는가”

Likelihood

관측 데이터가 특정 분포로부터 나왔을 가능도

  1. 표본 데이터 집합 관측
X = \{1, 4, 5, 6, 9\} 

  1. 이 데이터가 추출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후보 분포(θi) 추출

    계량경제학 정리_page-0054

  2. Likelihood Value(가능도) 구하기

    계량경제학 정리_page-0054

P(X|θi)=n∏k P(Xk|θi)

  1. Likelihood Function (가능도 함수) 로 변환

    ‘θ’를 변수로 둠 <-> 관측 데이터(X)가 주여졌을 때, 모수 θ가 그럴듯할 정도(P(x θ))를 나타내는 θ에 대한 함수

    보통 자연로그를 이용해 log-likelihood function을 사용한다.

    L(θ|x)=logP(x|θ)=n∑i logP(xi|θ)
    
  2.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도출

    가능도 함수를 최대로 만드는 θ 찾기

    \hat{\theta }_{MLE}=arg\:\underset{θ}{max} L(θ)
    


#####

댓글남기기